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Material Theme Color System
    개발/Android 2023. 5. 31. 18:35

    안드로이드 그리고 플러터를 공부하면서 MaterialTheme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색을 주로 사용하면서 Primary onSurface 등 다양한 색 구성을 접하게된다. 막연하게 사용했었지만 그 용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제대로된 사용처를 파악하여 완성도 있는 앱을 만들고자 정리해둔다.


    Primary color

    Primary Color는 앱의 스크린 그리고 컴포넌트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색이다

    일반적으로 appbar에 색이 primary color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primary color에서 더 어두운 색이 systembar 색으로 결정된다.이를 primary varient라고 합니다.

    Secondary color

    secondary color는 앱 내에서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컴포넌트에 적용합니다. secondary color를 도입하는 것은 자율입니다. 만약 secondary color를 지정하지 않았다면 primary color를 이용해 강조해도 관계 없습니다.

    secondary color는 일반적으로

    • 플로팅 액션버튼
    • 스위치 체크박스 라디오버튼과 같은 선택 엘레멘트
    • 선택한 텍스트를 강조
    • progress bar
    • 헤드라인, 링크

    에 사용됩니다.

    Surface, background and error colors

    먼저, ② surface color는 card sheet menu와 같이 특정 컴포넌트이 배경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왼쪽 그림에서는 card 컴포넌트가 존재하고 card의 배경색으로서 surface를 사용한 경우입니다.

     

    그리고 ① background color는 스크롤이 가능한 컨텐츠들의 배경색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erorr color는 말 그대로 오류가 발생했을때 나타나는 색 입니다.

     

     

     

    "On" Colors

    일반적으로 "On" color들은 글자의 색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onSurface의 경우 Surface색이 사용된 컴포넌트의 색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는 OnBackground, OnPrimary 등 역시 마찬가지의 규칙이 적용됩니다. 당연하게도 위의 예시의 background 색이 하얀색 #FFFFFF 이라면 onBackground의 색은 #000000 검정의 색을 두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위의 예제 및 기본 바탕되는 지식은 모두 material.io 사이트에서 발췌한 내용들입니다. 또한 이러한 규칙은 권고사항일 뿐이지 반드시 지켜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개발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Room Date Type에 대한 에러  (0) 2023.06.09
    Room 사용 시 kapt 에러  (0) 2023.06.09
    Android DateFormat  (0) 2022.09.13
    RecyclerView ViewType 분기  (0) 2022.09.12
    Fragment Container Testing  (0) 2022.09.06
Designed by Tistory.